@ Controller - 스프링 컨테이너안에 객체를 생성해서 넣어둠
@ Autowired - 스프링 컨테이너 안에 있는 memberService 생성자 호출 (연결)
@ Service - 스프링 컨테이너에 서비스 등록
@ Repository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가 정형화된 패턴임.
controller - 외부요청을 받고
service - 비즈니스 로직을 만들고
repository - 여기에서 데이터를 저장
ex)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
MemberController라는 객체를 생성하여 스프링 컨테이너에넣어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
@Autowired
public MemberController(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Service = memberService;
}
}
스프링빈에 등록되어있는 멤버서비스객체를 넣어준다. - autowired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2가지 방법.
- 1.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Component)
- 2.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
@Component의 스페셜한 경우가 @service, @repository,@Controller 등등
@component 기반으로 만들어진것들.
컴포넌트 스캔 원리
@Component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다. ( 대부분 이렇게 써야 효율이 좋음 - 싱글톤 )
스프링 빈으로 쓰면 좋은 이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Configuration
@bean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thVariable (0) | 2023.07.31 |
---|---|
이클립스에디터 에서 모든코드색이 검은색 txt로 변할때 (1) | 2021.12.12 |
junit 테스트코드 작성 팁 (0) | 2021.10.28 |
웹개발 기초 (0) | 2021.10.28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고찰 (1) | 2021.10.28 |